부동산 전망에 대한 생각 (feat. 분양가 상한제)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동산 전망에 대한 생각 (feat. 분양가 상한제)

함께하는 공간

by 민트코끼리 2019. 11. 19. 06:59

본문

반응형

부동산 전망에 대한 시선

 

올해들어서 미국과 한국이 연달아 금리를 인하해서 은행 예금금리가 너무 낮고, 경제 불안으로 주식투자는 위험하다고 생각해서 부동산 투자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매우 높습니다. 뉴스에서도 부동산 관련 뉴스가 매일 보도되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사람들의 부동산에 관한 전망은 각기 다릅니다. 한쪽에서는 금리인하와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 시중 유동성 증가, 분양가 상한제(감정평가된 토지비용과 정부가 정한 기본형 건축비에 개별 아파트에 따라 추가된 비용인 가산비용을 더해 분양가의 상한선을 결정하여 그 가격이하로 분양하도록 하는 제도), 신도시 보상금 등으로 앞으로 아파트 가격 등이 더 오를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그리고 다른 한쪽에서는 경제 침체와 중국 금융위기 가능성, 자영업 위기, 인구감소, 새 예대율 규제 등의 이유로 아파트 등의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외에도 부동산 전망이나 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들에는 일부 지역의 조정대상 지역 해제, 주택연금의 가입연령 나이를 60세에서 55세로 낮춘 것, 부동산 리츠 증가, 양도세 중과세 부과 문제 등입니다. 더 나아가서 내년에 추가 금리인하를 어떻게 할 지, 양적증대나 양적완화 여부, 국내 경기개선 여부, 미중 무역협상 내용, 중국발 금융위기 등도 영향이 크고 변수가 많아서 앞으로 부동산 전망이 어떻게 될 지 단정짓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렇지만 모든 상황을 종합해서 가능성이 조금 높은 것으로 전망해보면 부동산이 내년까지 강세일 수 있지만, 내년 하반기 이후에는 상승세가 멈추거나 하락하게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부동산 급락의 가능성이 아에 없는 것은 아니지만, 부동산 비중이 매우 높은 한국에서는 부동산 급락은 금융위기와 세수부족 등의 큰 문제를 낳기 때문에 정부나 금융기관, 건설기업 등이 어떻게든 막으려 할 것 입니다.

올해들어 서울의 경우 아파트의 가격이 비싸졌고, 거래량은 많이 줄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금리인하나 분양가 상한제 등으로 아파트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는 사람들은 매도가를 높게 부르고, 사려는 사람들은 경제 침체 등의 이유로 매수가를 낮게 불러서 매도와 매수 가격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

 

올해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이유

 

이외에도 서울의 부동산 가격이 지방에 비해 많이 오른 이유는 교통호재 때문이기도 하고, 인구가 감소해도 서울의 부동산 가격은 안전하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서울 이외의 지역도 조정대상 지역에서 해제되면서 아파트 호가가 뛰는 지역도 있고 지방의 일부 지역에서는 개발 호재로 부동산이 상승하는 지역도 있습니다.

현재 정부가 앞으로 자사고와 특목고를 폐지한다고 하고, 정시확대에 관한 말들이 나오면서 대치동이나 목동, 중계동 등의 전통적으로 교육열이 높았던 지역은 전세나 아파트 가격이 꿈틀거릴 조짐도 있다고 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경제 침체나 경제 위기 때문에 부동산이 급락할 것이라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경제가 어려워지고 있지만, 부동산이 급락이라기 보다 하락할 것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앞으로 경제가 어려워질수록 부동산 뿐만아니라 돈의 가치도 많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제위기나 금융위기가 생겨서 아파트 값이 30% 떨어지고 돈의 가치가 20% 떨어진다면, 돈으로 가격을 정하는 아파트 값은 단순계산으로 10%정도만 하락하는 셈입니다. 앞으로 부동산도 하락하고 돈의 가치도 하락한다면, 아파트를 사도 괜찮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빚 없이 사는 것은 자산의 분산차원에서 괜찮겠지만, 대출을 많이 끼고 사는 것은 한 가지 자산인 부동산에만 몰빵하는 셈이어서 위험합니다. 금융위기 가능성이 조금 있기 때문에 안좋다고 생각합니다. 나중에 위기 가능성이 없어졌을 때를 기다렸다가 사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기까지 저의 경제 동향읽기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